반응형
지난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사람들의 생활 반경이 좁아지면서 지역 기반의 하이퍼로컬(hyper-local) 즉, 지역 밀착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여기서 하이퍼 로컬은 ‘아주 좁은 범위의 특정 지역에 맞춘’이라는 의미로, 슬리퍼와 같은 편한 복장으로 각종 여가 및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주거 권역을 뜻하는 ‘슬세권’과 유사한 말이다.
게다가, 기존에 보유하거나 사용한 제품을 재거래하는 리커머스(recommerce)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지역이나 동네를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비즈니스 모델과 결합하면서 하이퍼 로컬 서비스는 더욱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리서치앤드마켓의 조사에 따르면, 하이퍼로컬 시장의 성장률은 2019년 약 9,730억 달러에서 2027년 약 3조 6,343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이퍼로컬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며, 가장 주목받은 플랫폼은 한국의 하이퍼 로컬 플랫폼의 대표 주자인 당근마켓이다.
중고거래의 대명사였던 당근마켓은 브랜드 인지도가 커지면서 지역 중고거래뿐만 아니라 중고차 직거래, 당근 알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리고 작년 8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목표로, 마켓을 뺀 ‘당근’으로 서비스명을 변경했다.
* 애드노하우 - " 당근 플랫폼을 활용한 광고 전략" 중 발췌
반응형
'하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노하우 - SNS의 시초, X(트위터) (3) | 2024.04.12 |
---|---|
애드노하우 - 구글 플랫폼을 활용한 광고 전략 (0) | 2024.03.20 |
애드노하우 - 첫 구매자 고객 할인 이벤트 (0) | 2024.03.14 |
애드노하우 - 검색 플랫폼 광고 종류 (0) | 2024.03.07 |
애드노하우 - 네이버 검색 광고에 관하여 (2) | 2024.02.28 |